해시태그
폴리아모리, 내 애인에게 또 애인이 생겼다?
해시태그

지난 3월,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윌 스미스가 코미디언 크리스 록의 뺨을 때린 사건, 아시나요? 아내 제이다의 민머리를 조롱한 크리스에 분개한 까닭이었는데요. 아내를 향한 윌의 지극한 사랑과 함께 주목받은 건 둘의 관계. 궁금한 분은 따라오세요!

이런 사람이라면 필독🤔

  • 폴리아모리가 궁금한 사람

  • 폴리아모리와 바람의 차이를 모르겠는 사람

  • 사랑의 다양한 방식에 대해 고민 중인 사람

    


image

윌 스미스와 제이다는 ‘개방 결혼(Open Marriage)’ 관계예요. 흔히 아는 부부 관계와는 조금 다른데요. 법적인 부부라는 점을 제외하면 서로 성적으로, 정서적으로 구속하지 않는다는 것이 특징! 개방 관계(Open Relationship)의 결혼 버전이죠.

폴리아모리(Polyamory)는 이를 아우르는 개념으로, 흔히 다자연애로 통용돼요. KBS joy 연애 예능 <연애의 참견>에서도 나왔죠? ‘많은’에 ‘사랑’이 합쳐진 단어로, 듣자마자 “뭐? 여럿이랑 사귄다고?”하는 탄식이 앞설 거예요.

하지만 폴리아모리의 핵심은 소유하지 않는 것! 이들은 한 명을 사귀더라도 서로를 1:1 구속 관계로 여기지 않아요. 게다가 연애한다고 무조건 섹스하는 게 아니듯 ‘폴리아모리=여럿이 섹스’라 보면 곤란하다고!😮

✔ 그럼 다 같이 사귀는 건가요?

다자연애라고 ‘내 연인이 네 연인’이라는 뜻은 아니에요. 윌 스미스와 제이다의 경우 부부 관계가 우선인 데다가 다 같이 사귀는 방식과는 거리가 멀죠.

다른 사람과의 교제를 수용하는 쪽에 가깝답니다. 한편 공동체처럼 모두 함께 어울리는 ‘식탁 폴리아모리(Kitchen Table Polyamory)’도 있어요.¹


image

‘폴리아모리’하면 소환되는 영화 <아내가 결혼했다>. 극 중에는 남편 하나만 더 갖고 싶다는 인아가 등장해요. 그의 가치관은 애인 덕훈과 정면으로 충돌하죠. 덕훈의 소망은 “그녀가 오직 나만 사랑하는 것”이니까요.

’더 많이 사랑하는 쪽이 지는 것’이라고 했나요. 인아를 놓치고 싶지 않은 덕훈은 마지못해 그의 제안을 받아들여요. 이 영화가 폴리아모리를 대변하는 영화로 부족한 건 둘의 비대칭적 관계 탓은 아닐까요.😥

두 개의 심장을 지닌 사람을 사랑한 대가(?)로 을의 연애를 하게 되는 상황. 애인의 남사친으로 마음고생을 한 강**(28)는 폴리아모리에 대해 “내가 상대가 바라는 모든 걸 채워줄 수 없음을 인정하는 거죠”라고 했습니다.

3년째 연애 중인 이**(30)는 바로 그런 면에서 폴리아모리에 대해 회의적이었어요. “상대의 좋은 부분만 취하겠다는 거 아닌가요”라고 덧붙였죠. 자신의 100% 만족을 위해 연애 상대를 늘리는 거라고요.


image

하지만 폴리아모리가 가능하다고 믿는 이들은 생각이 달랐어요. 평범한 직장인이라는 현**(41) 님은 ”상대를 구속하려는 태도가 당연하고, 멋있게 비치는 게 불편해요”라며 모노아모리의 부정적인 면을 지적했죠.

그저 열린 관계를 지향할 뿐이라는 김**(39) 님도 “누군가의 애인이라고 하는 순간 말과 행동에 제약이 생기고, 호감을 느끼면 죄책감이 생기는 게 불편해요”라고 설명했어요.

그럼 질투는 어떻게 해소할까요. 사랑하는 사람을 한 명으로 제한하고 싶지 않다는 임**(28) 님은 “한 사람에게 질투를 느끼면, 다른 사람한테 더 잘해줘요”라고 전했어요. “반대로 사랑의 총량이 100인데 150을 받으면 상대에게 더 쏟을 수도 있죠”라고요.

현** 님은 “나 아닌 누군가에게도 사랑을 받으면 상대의 행복에 보탬이 되겠죠. 그게 또 제 행복으로 돌아올 테고요”라고 설명했어요. 김** 역시 “상대방이 원하는 걸 하게 해 주고 싶어요”라고 공감했죠.




임** 님은 “폴리아모리를 하는 건 또 다른 나를 만나기 위함”이라면서 “이 사람의 매력, 저 사람의 매력이 나와 어떤 시너지를 낼지 볼 수 있으니까요”라고 전했습니다. 사랑에 대한 색다른 관점을 엿볼 수 있었죠.

폴리아모리는 질문합니다. ‘당신은 사랑에서 무엇을 원하는지’ 말이죠. 과연 폴리아모리는 쾌락을 좇는 이들의 핑계일 뿐일까요? 혹은 지속 가능한 사랑을 탐색하는 사랑꾼일까요. 답은 이 글을 읽는 당신에게 넘길게요.😉


  1. 폴리아모리, 비독점적 다자연애의 종류와 용어 2편, 마찰음, 2020년 11월 9일


    참고 | Moors, Amy C et al. “Desire, Familiarity, and Engagement in Polyamory: Results From a National Sample of Single Adults in the United States.” Frontiers in psychology  vol. 12 619640. 23 Mar. 2021, doi:10.3389/fpsyg.2021.619640

369

WORLD SHIPPING

PLEASE SELECT THE DESTINATION COUNTRY AND LANGUAGE :

GO
닫기